Book : 현명한 투자자의 인문학

2019. 4. 26. 11:30

다양한 지식들이 모여 투자의 선택에 영향을 어떻게 끼치는지
알고 싶어서 선택한 책. 지식들을 알아가는데 불을 지피는 책
주식도 슬슬 책을 읽어 볼까 하는데 기초책부터, 경제 기초 책과
엮어서 투자 궁리를 좀 해봐야겠다. 역시나 빠삭해 질때까지
쫄보라 투자는 못하겠지만 한 관련 서적 5권정도 읽고 나서 
슬금슬금 관련 주를 공부겸 사봐야겠다. IT 업계를 너무 좋아하고
업으로 두고있어서 관련 산업동향 공부겸 투자겸 병행해야지.
읽어보니 다양한 지식들이 엮어서 투자에 대한 해답을 얻어가는 과정이
흥미진진하다. 아직 반정도 읽었지만 계속해서 포스팅 내용을 
추가해 나가야겠다.

 

기억에 남는 책 구절

-재무와 투자를 보다 큰 통합된 전체의 한 부분, 커다란 지식체계의 일부분으로 보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 
이것이 이책에서 얘기하는 투자 철학의 핵심이다.


- 격자틀 모형 "여러분 머리에 여러 개의 모형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여러분이 직접경험한 것들과 간접적으로 습득한
것들을 이 모형의 격자틀 위에 잘 배치해 두어야 합니다.


-배움은 힘든 짐이 아니라 선물 세상의 역사를 읽게 되면 당신은 인간사에 관한 
다양한 분야의 서로 연관된 지식을 발견하게 될 것

물리
수요와 공급이 안정된 균형 상태에 있는데, 만약 어떤 사건이 벌어져 생산량의 눈금이 균현점에서
벗어나게 된다면, 그 즉시 그것을 다시 균형점으로 되돌리는 힘들이 활성화될 것이다.
줄에 매달린 돌멩이가 균형점에서 벗어나면 그 즉시 중력이 작용하여 다시 균형점으로 되돌려놓는
것처럼, 균형점으로 생산량 눈금이 이동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미래 예측이 어려운 이유
수많은 똑똑한 사람들은 필요한 모든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적극적으로 그 정보를 활용하여
누군가 이익을 취하기도 전에 주가를 즉시 조정해 버린다. 그래서 다시 균형이 회복된다.
샤프에 따르면 기대수익을 높이려면 투자자는 자본시장 선 밖으로 나아가는 수밖에 없다. 반대로
투자자가 위험을 줄이고자 한다면, 자본시장 선 아래로 내려가야 하고 수익이 줄어들게 된다.
어떤 경우든 균형이 유지된다.

생물학
물리학은 균형이라는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생물학 에서는 '진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연에서 진화 과정은 자연선택 과정인데, 이런 진화적 틀로 시장을 보면 시장선택 법칙을 볼 수 있다.

시장의 장기적 진화는 돈의 흐름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될 수 있다. 생물학적 진화가 식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금융시장의 진화는 돈의 영향을 받는다.
투자 전략은 왜 그렇게 다양할까? 파머는 기본 전략에 따라 행동 패턴이 달라진다는 사실에서 
해답을 찾는다. 어떤 행동 패턴이 수익을 내면, 행위자들은 이 명백한 패턴을 이용하려고 몰려들고
결국 부작용을 일으킨다. 많은 행위자들이 동일한 전략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수익성이 떨어진다.
새로운 행위자들이 새로운 전략을 만들어내고 수익을 낸다. 자본이 다시 이동하고 그 새로운 전략이
인기를 얻는다. 시장은 항상 일정 수준 다양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이것이 진화를 일으키는 핵심이다.

 

현명한 투자자의 인문학
국내도서
저자 : 로버트 해그스트롬(Robert G. Hagstrom) / 박성진역
출판 : 부크온 2017.07.14
상세보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 끌리는 온라인 마케팅  (0) 2019.04.26
Book : 저는 주식투자가 처음인데요  (0) 2019.04.26
Book : 나는 4시간만 일한다  (0) 2019.04.26
Book : 나는 돈이 없어 경매를 한다.  (0) 2019.04.24
Book : 돈  (0) 2019.04.24